오늘의 포스팅은 피씨가 정상 부팅이 안될 때나 안전 모드로 부팅하여 윈도우를 사용하는 내용을 알려드리는 포스팅입니다.
windows 7을 사용할 때는 컴퓨터가 정상 부팅이 안되면 피씨 전원을 켜고 열심히 F8 키를 눌러서 안전 모드로 부팅을 할 수 있었는데
windows 10 은 F8키를 누른다고 안전 모드 진입이 안되다 보니 윈도우 무한 로딩 증상이나 블루 스크린 발생 시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이경우 안전 모드로 부팅이 가능하다면 사용자에 따라서 급하게 파일을 빼내거나 할 수가 있습니다.
물론 안전 모드로도 부팅이 안된다면 전문 기사분들의 도움을 받으시는 게 좋아요.
그럼 본격적으로 안전 모드 부팅 방법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안전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Windows 복구 환경(WinRE)을 시작해야 하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전원 버튼을 10초 동안 길게 눌러 장치의 전원을 끕니다.
전원이 꺼지면 다시 전원 버튼을 눌러서 전원을 켜줍니다
여기서부터가 중요합니다.
사용하는 피씨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사진처럼 메인보드 제조사 로고가 뜨고
로고 아래쪽에Windows가 시작되는 신호로 5개의 동그란 점이 원을 그리기 시작하면
다시 10초 동안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장치를 끕니다.
피씨 전원이 꺼지면 다시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을 켜고
Windows 가 시작되는 신호가 나오면 다시 10초 동안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장치를 끕니다.
그리고 피씨 전원이 꺼지면 다시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을 켜줍니다.
그러면 화면에 windows 시작 표시와 함께 아래쪽에
"잠시 기다려 주세요."
라고 화면에 나타나면 Windows 복구 환경(WinRE)으로 시작되는 겁니다.
잠시 후 사진과 같이 복구 화면이 나타나면
"고급 복구 옵션 확인"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다음 화면에서 복구 옵션을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부팅 오류가 발생한 경우 요 화면에서
"계속 (종료 후 windows 10으로 계속)"을 눌러주시면 정상 부팅되기도 하니 한번 해보시는 것도 좋아요.
우리는 안전 모드 부팅을 해야 하니
"문제 해결( PC 초기화 또는 고급 옵션 표시)"를 눌러 줍니다.
문제 해결을 누르시면
"이 PC 초기화" 와 "고급 옵션"이 나옵니다.
여기서 "고급 옵션"을 선택
고급 옵션 속에는 여러 메뉴가 있는데
우리는 시작 설정(Windows 시작 동작 변경)을 선택해 줍니다.
시작 설정에서는 다른 것 선택 없이 우측 하단의 다시 시작을 눌러 줍니다.
PC가 재부팅되면 화면에 시작 설정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안전 모드는 4번부터 6번까지 있는데 일반적으로 4번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숫자 키나 F4 키를 눌러 주시면 안전 모드 부팅이 진행됩니다.
부팅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시면 windows 정상모드로 부팅이 진행됩니다.
잠시 후 안전 모드로 부팅이 됩니다.
안전 모드에서 일부 프로그램 사용이 가능하긴 하지만 모든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건 아니니 참고하세요.
급하게 부팅이 안되는 피씨에서 자료를 빼내야 하는 경우 USB 메모리 등을 연결하시고 안전 모드로 부팅하시면
USB 메모리나 외장 하드로 파일 복사가 가능합니다.
Windows 안전 모드 부팅은 피씨 부품의 이상 유무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안전 모드로 만 부팅이 되고 정상 부팅이 안되면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을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과 점검이 필요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를 눌러 주세요. 글을 쓸 수 있는 큰 힘이 됩니다.
'컴퓨터 관리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ny Vegas Pro 18.0.0 Build 373 설치 및 활성화 패치 (7) | 2020.11.14 |
---|---|
Adobe Photoshop CC 2021 설치 (0) | 2020.11.10 |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 CC 2021 설치 (0) | 2020.11.08 |
랜섬웨어 감염 종류 확인 방법 (0) | 2020.11.07 |
코렐드로우(CorelDRAW) 2020 설치 (1) | 2020.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