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인 프로그램을 설치 이용할 때는 상관이 없으나 온라인을 통해 크랙 파일이나 프로그램 활성화 패치가 되어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경우 윈도우 디펜더가 해당 파일을 위험 파일로 인식해서 프로그램이 설치가 안되거나 크랙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윈도우 디펜더를 해당 프로그램 설치 전에 미리 꺼주는 게 좋습니다.
검색에서 windows 보안이라고 검색해서 windows 보안창을 열어준 후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메뉴를 선택해 줍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의 설정 관리를 클릭해 줍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항목 중 실시간 보호 기능을 켬에서 끔으로 바꿔주면 윈도우 디펜더가 꺼집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는게 번거롭다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됩니다.
Defender Control v1.6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쉽게 윈도우 디펜더를 켜고 끄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ordum.org/9480/defender-control-v1-6/
Defender Control v1.6
In Windows 10 there is no option to completely turn off Windows Defender , Defender control is a Portable freeware to easily disable or enable Defender
www.sordum.org
해당 프로그램 다운로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해주면 됩니다.
프로그램 실행 후 디펜더 실행여부를 확인 후 사용 안 함이나 사용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프로그램이 영문으로 실행된다면 메뉴 항목에 들어가서
랭귀지 항목에 들어가서 한글로 바꿔주시면 한글버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후 클릭 한 번으로 윈도우 디펜더를 켜고 끄고 가 가능하니 한번 이용해 보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를 눌러 주세요. 글을 쓸 수 있는 큰 힘이 됩니다.
'컴퓨터 관리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obe 제품 사용시 발생하는 ccx_fnft_dialog_name 에러 해결 방법 (2) | 2020.12.28 |
---|---|
EaseUS Todo Backup Free 13.0(무료 디스크복제 프로그램) (1) | 2020.12.09 |
윈도우 10 블루스크린(page fualt in nonpaged area) 원인 과 해결법 (0) | 2020.12.02 |
크롬 알림 광고 차단설정 (0) | 2020.11.29 |
크롬 다운로드 차단파일 다운로드방법 (0) | 2020.11.23 |
댓글